개설교과목 |
교과과정개요 |
임상통계학기본 |
생물통계(Biostatistics) 기초과정으로서, 확률과 통계에 대한 기본이론과 다양한 통계분석법에 대해 학습한다.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한 간단한 실습을 진행한다. |
임상통계학응용
|
생물통계(Biostatistics) 응용과정으로서, 다양한 비모수검정법에 대해 학습하며 통계지식을 바탕으로 SPSS와 SAS 프로그램을 이용한 실습이 진행된다. |
심혈관 및 감염질환 약물치료
|
심혈관 및 감염질환에 대하여 각 질환별 역학, 병태생리, 병인, 진단, 비약물치료, 약물치료, 약물계열, 치료지침, 집단치료계획에 대하여 학습한다. |
신장 및 소화기질환 약물치료
|
신장 및 소화기질환에 대하여 각 질환별 역학, 병태생리, 병인, 진단, 비약물치료, 약물치료, 약물계열, 치료지침, 집단치료계획에 대하여 학습한다. |
종양 및 정신질환 약물치료
|
종양 및 정신질환에 대하여 각 질환별 역학, 병태생리, 병인, 진단, 비약물치료, 약물치료, 약물계열, 치료지침, 집단치료계획에 대하여 학습한다. |
근골격 및 비뇨기질환 약물치료
|
근골격 및 비뇨기질환에 대하여 각 질환별 역학, 병태생리, 병인, 진단, 비약물치료, 약물치료, 약물계열, 치료지침, 집단치료계획에 대하여 학습한다. |
임상보험약학세미나
|
임상보험약학 관련 주제를 중심으로 최근의 급여기준 변화 및 갱신에 대한 정보를 학습한다. |
임상약학의 이해
|
비약학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하며, 기초적인 임상약학 또는 약물학 지식에 대해 학습한다. |
임상약동학의 이해
|
비약학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하며, 기초적인 임상약동학에 대하여 학습한다. |
임상약제학의 이해
|
비약학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하며, 기초적인 임상약제학에 대하여 학습한다. |
약학영어
|
약학과 관련된 회화, 임상현장에서의 다양한 실무영어 및 관련 영문 학술지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한 어휘와 구문에 대하여 학습하며 익힌다. |
약학통계
|
의약품 관련 연구 및 임상적용시 필요한 임상통계의 기본개념과 실무적인 측면을 학습한다. |
의약품행정학
|
보건의료체계, 건강보장, 및 의약품 개발단계부터 최종 사용단계까지의 전반적인 국가 규제정책에 대해 학습한다. |
연구디자인 및
약학문헌분석학
|
임상실무에서 근거중심약학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약학문헌 분석기법을 함양하기 위하여, 다양한 연구설계(체계적문헌고찰, 실험연구, 관찰연구 등)에 대해 이해하고, 논문 작성시 필요한 연구방법론을 학습한다. |
의약품경제성평가
|
신약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경제성평가방법(비용최소화분석, 비용효과분석, 비용효용분석, 비용편익분석)의 기본개념을 학습하고, 모델링, 비용 및 성과의 측정, 민감도분석 등 실무기법을 익힌다. |
약료서비스및약국경영학
|
지역약국 및 병원약국의 서비스에 대하여 학습하며, 환경변화에 부응하기 위하여 필요한 약국관리에 관한 지식 및 전략적 계획 수립 기술을 함양한다. |
약과사회
|
의약품의 사회적 가치를 학습하고, 신약개발, 유통 및 사용과정에서 추구하는 목표에 대하여 논의하며, 전문가로서의 윤리의식을 고양한다. |
사회행태약학
|
사회적인 측면에서 건강과 질병의 개념을 이해하고, 건강행태이론에 근거하여 환자의 복약이행도를 개선하기 위한 상담기법을 학습하며, 약사역할에 대해 심도있게 이해한다. |
의약품정책론
|
보건의료환경의 변화 및 시대적 요구에 따른 의약품 정책 방향, 전략개발 및 시행절차 등에 대해 학습한다. |
연구지도
|
연구주제선정을지원하고, 연구수행과정과 논문작성과정을 지도한다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