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통필수 |
임상약학
사회약학 |
약학통계
Statistics in Pharmacy
(기존 교과명:
임상통계학 기본(임상약학),
약학통계(사회약학)) |
사회약학 및 임상약학 연구를 수행하거나 문헌을 평가할 때 필요한 통계적 기초개념 및 분석방법을 학습한다. |
전공필수 |
임상약학 |
심혈관 및 감염질환 약물치료
Cardiovascular and Infectious Disease Pharmacotherapy |
심혈관 및 감염질환에 대하여 각 질환별 역학, 병태생리, 병인, 진단, 비약물치료, 약물치료, 약물계열, 치료지침, 집단치료계획에 대하여 학습한다. |
신장 및 소화기질환 약물치료
Pharmacotherapy in Kidney and Gastrointestinal Disease |
신장 및 소화기질환에 대하여 각 질환별 역학, 병태생리, 병인, 진단, 비약물치료, 약물치료, 약물계열, 치료지침, 집단치료계획에 대하여 학습한다. |
임상약동학의 이해
Understanding of Clinical Pharmacokinetics |
기초적인 임상약동학에 대하여 학습한다. |
임상약제학의 이해
Introduction to Clinical Pharmaceutics |
기초적인 임상약제학에 대하여 학습한다. |
사회약학 |
연구디자인 및 약학문헌분석학
Research Design and Pharmaceutical Literature Evaluation |
근거중심 의사결정과정에 필요한 의약학 문헌의 다양한 연구디자인별 특성(무작위대조임상시험, 사례대조군연구, 코호트연구, 체계적문헌고찰및메타분석, 질적연구 등)과 문헌평가방법을 학습한다. |
보건의료체계 및 건강보장정책
Health Care System & Health Security Policy |
국가 보건의료체계를 이해하고, 의약품의 개발부터 사용까지 전 주기에 걸친 국가 정책의 목표와 특성 및 성과에 대해 학습한다. |
사회약학행태론
Social Behavioral Pharmacy |
약물사용과정에 관여하는 다양한 주체들(개인, 조직 및 시스템)의 심리, 사회, 행태적 특성, 그리고 건강과 돌봄의 사회네트워크 및 건강불평등에 대해 논의한다. |
약무정책론
Policy of Pharmaceutical Affairs |
약무제도의 기초인 약사법 및 기타 정책에 대한 고찰을 통해 약국 및 의약품에 대한 정책을 이해하고 우리나라 약무정책과 제도에 대한 발전방향의 기초를 모색한다. |
전공선택 |
임상약학 |
종양 및 정신질환 약물치료
Oncologic and Psychiatric Pharmacotherapy |
종양 및 정신질환에 대하여 각 질환별 역학, 병태생리, 병인, 진단, 비약물치료, 약물치료, 약물계열, 치료지침, 집단치료계획에 대하여 학습한다. |
근골격 및 비뇨기질환 약물치료
Musculoskeletal & Genitourinary Pharmacotherapy |
근골격 및 비뇨기질환에 대하여 각 질환별 역학, 병태생리, 병인, 진단, 비약물치료, 약물치료, 약물계열, 치료지침, 집단치료계획에 대하여 학습한다. |
헬스케어 빅데이터
Healthcare Big Data |
헬스케어 빅데이터를 둘러싸고 있는 국내외 이슈와 동향을 살펴보고, 대규모로 저장된 헬스케어 정보 안에서 체계적이고 자동적인 통계적 규칙이나 패턴을 찾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. |
임상약학의 이해
Understanding of Clinical Pharmacy |
비약학전공 학생을 대상으로, 기초적인 임상약학 지식에 대하여 학습한다. |
임상약물학의 이해
Introducation to Clinical Pharmacology |
기초적인 약물학 지식에 대해 학습한다. |
의약품규제과학
Pharmaceutical Regulatory Science |
약사법규 틀 안에서 의약품의 품질, 안전성, 유효성 및 비용효과성의 관리, 그리고 약사서비스의 질 관리를 위한 국가 규제방식과 세부 규제내용에 대해 학습한다. |
임상약물계량학
Clinical Pharmacometrics |
임상약동학 및 약력학 전반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, 계량약리학적 모델 구축 및 시뮬레이션을 통해 약물 및 질병에 대한 정보를 정량화 한다. 이를 통해 근거에 기반한 최적의 약물 용량 및 용법을 디자인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. |
노인약리학
Geriatric pharmacology |
노화와 생물학적 변화, 노인약물관리, 약물부작용 등을 학습한다.(노인약료전문가과정에 포함되는 교과목) |
노인약물치료학I, II
Geriatric Pharmacotherapy I, II |
노인성 정신과질환, 심혈관계질환, 노인성 감염, 비뇨생식기계질환, 내분비계 질환 등의 약물치료에 대한 이론 및 환자 사례를 학습한다.(노인약료전문가과정에 포함되는 교과목) |
사회약학 |
지역사회약료
Community Pharmacy Practice |
약국과 공중보건 사이에 가능한 파트너십의 내용들을 학습하고, 이를 수행하기 위한 미국 등 글로벌 국가의 약국 및 약사들의 활동을 고찰하고, 이를 기초로 우리나라에서 지역주민의 건강을 증진하고 보호하는 약국 전문가의 역할에 대한 심층적인 측면을 모색한다. |
약업경영학
Pharmacy Practice Management |
약사윤리와 전문직업성을 이해하고, 약사서비스의 발전방향을 탐색한다. 약사커뮤니케이션 기술 및 약국경영 지식과 기법을 학습한다. |
사회약학개론
Introduction Social & Administrative Pharmacy |
사회약학에 대한 입문강의로 사회약학의 기본 개요와 다루고 있는 범주에 대해 소개한다. |
의약품경제성평가
Pharmacoeconomics |
비용과 성과를 함께 고려하는 경제성평가의 개념, 연구수행 방법, 정책적 활용 및 최신 동향에 대해 학습한다. |
노인사회약학
Geriatric Social Pharmacy |
노인의 다면적 특성, 건강노화 관련 사회제도, 노인의 의료소비, 노인약료 약사역할에 대해 논의한다.(노인약료전문가과정에 포함되는 교과목) |
제약/바이오 R&D 전략
Pharma R&D strategy |
제약산업의 근간이 되는 R&D 전략에 대한 이해를 통해, 사업 관점에서의 R&D 이해 및 R&D 전문가로서 전략 마인드를 가진 리더십 배양을 목표로 하며, 제약 산업 및 R&D, 전략적 의사 결정, 개방형혁신 및 협상에 대해 학습한다. |
논문대체 교과목 |
임상약학
사회약학 |
임상/사회약학세미나
(논문대체 교과목)
Clinical/Social Pharmacy Seminar |
학술 또는 현장 이슈를 주제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보고서를 작성한다.(5학기 학생 중 논문대체졸업 희망자가 수강하는 과목) |